물리치료학과 심화과정
학기 | 교과목명 | 교과개요 |
---|---|---|
1학기 | 신경계 근거중심 물리치료학 및 실습 | ⦁ 신경계질환에 대한 임상사례 심화과정을 실시하고 문헌 및 빅데이터 기반의 고찰을 통한 근거에 기초한 검사 및 치료 접근을 학습하고 수행하는 교과 |
생활안전관리 및 중재 | ⦁ 다양한 응급상황에 대하여 손상기전에 따른 환자평가방법 및 응급처치 순서를 습득하여 효과적인 응급처치방법으로 응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학습하는 교과 | |
운동조절 | ⦁ 레드코드 슬링 운동의 기본 원리와 멀티 서스펜션을 활용한 전신 회전운동을 학습하는 교과 | |
임상 정형도수치료실습 I | ⦁ 허리 및 다리•발(하지)을 중심으로 정형도수치료 기법을 통해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실무적 이해를 높이고 근거중심의 임상추론을 바탕으로 실제 임상 환경에서 필요한 도수 치료 적용을 수행하는 교과 | |
임상 질환별 중재 | ⦁ 일상생활이나 산업재해 등에 의한 근골격계, 신경계 질환을 이해하고 치료를 위해 환자의 나타난 문제 해결을 위해 심화 중재를 통하여 환자의 빠른 회복을 돕는 방법을 학습하는 교과 | |
통합의학중재 | ⦁ 다양한 통합치료방법들을 물리치료 시 병행할 수 있도록 각각의 통합의학의 치료기법의 고찰을 통하여 물리치료 중재방법을 학습하는 교과 | |
2학기 | Al 융합 물리치료학 | ⦁ 인공지능(AI) 기술을 물리치료에 접목하여 더욱 효과적이고 정확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학문 분야로써 인공지능의 기본 원리와 물리치료학의 지식을 융합하여, 환자 데이터 분석, 예측 모델 개발, 맞춤형 치료 계획 수립 등을 위한 다양한 방법론을 학습하는 교과 |
골격계 근거중심 물리치료학 및 실습 | ⦁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임상사례 심화과정을 실시하고 문헌 및 빅데이터 기반의 고찰을 통한 근거에 기초한 검사 및 치료 접근을 학습하고 수행하는 교과 | |
도구와 그룹물리치료학 및 실습 | ⦁ 근골격계 질환을 가진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그 환자의 질환을 이해하고 다양한 도구를 이용한 물리치료 중재방법을 학습하고 수행하는 교과 | |
임상 정형도수치료실습 II | ⦁ 목 및 팔•손(상지)을 중심으로 정형도수치료 기법을 통해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실무적 이해를 높이고 근거중심의 임상추론을 바탕으로 실제 임상 환경에서 필요한 도수 치료를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수행하는 교과 | |
임상 질환별 진단 | ⦁ 일상생활이나 산업재해 등에 의한 신경계 질환을 이해하고 치료를 위해 각각의 진단을 통해 환자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중재의 목표를 설정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교과 | |
피부 및 체형물리치료중재 | ⦁ 피부의 구조 및 특징을 이해하고 피부 질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 그 환자의 질환을 이해하고 평가하면서 평가된 내용을 기초로 하여 물리치료 중재법을 학습하는 교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