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 세상 속 건강과 웰빙 ★전문응급구조학과(심화)(교양)
[교과 개요] ⦁ 스스로 건강 관리와 Well-bing 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건강정보와 유익한 건강 실천 방법과 관련한 주제를 옴니버스식으로 편성한 교과목임 ⦁ 보건의료 분야의 전문적 지식을 다루는 것이 아닌 보편적 건강 관련 주제로 모든 전공 분야의 학생이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함 [교과 특징] ⦁ 옴니버스형 원격강의로 운영되는 교과목으로, 단순한 전공지식을 소개하거나 확장하는 주제가 아닌 보편적인 건강과 웰빙을 주제로 주차별 수업 내용을 편성함
-
응급영상판독과활용 ★전문응급구조학과(심화)(전공)
[교과 개요] ⦁ 응급 진단검사 종류에 대해 이해하고 결과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을 통해 응급환자 상태에 대한 진단과 처치과정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내용으로 편성 ⦁ 응급 영상진단(X-ray, CT, MRI) 등 응급상황에서 적절한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영상 판독 방법에 대해 학습함으로서 응급환자 진단 및 평가에 활용 [교과 특징] ⦁ 병원 내 진료보조 및 응급의료 제공 업무에 필요한 진단검사의학 및 영상의학적 판독 술기를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과목임
-
ALS시뮬레이션실습 ★전문응급구조학과(심화)(전공)
[교과 개요] ⦁ 생명의 위급성이 존재하는 심혈관질환과 외상환자에 대한 총괄적 지식을 바탕으로 응급환자의 생명보호와 응급처치 원칙에 대한 심화 학습하기 위한 교과목임. ⦁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심혈관 응급질환, 외상환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재현하여 환자평가 및 처치를 시행하여 전문지식과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형 교육내용으로 편성함. [교과 특징] ⦁ 본 교과목은 심정지 환자 및 부정맥 환자, 외상성 심정지를 포함한 외상환자에게 필요한 평가 및 술기를 숙달하기 위한 교과목으로 응급의료서비스 제공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음 ⦁ 본 교과목은 시뮬레이션 실습 중심 교과목으로 1:1 개별 실습 및 팀별 실습으로 운영되는 교과목임
-
EMS연구방법론 ★전문응급구조학과(심화)(전공)
[교과 개요] ⦁ 연구방법론의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응급구조 전공 분야 최신 의학지견을 파악하여 전문성을 유지한다. [교과 특징] ⦁ 응급의료 관련 논문을 읽어보며 논문의 구조와 연구의 원리를 이해한다.
-
EMS연구실무 ★전문응급구조학과(심화)(전공)
[교과 개요] ⦁ 연구방법론의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응급구조 전공 분야 최신 의학지견에 부합하는 실무적 연구방법을 탐색하고 활용한다. [교과 특징] ⦁ 응급의료 관련 논문을 읽어보며 논문의 구조와 연구의 원리를 이해한다.
-
응급현장법의학의실제 ★전문응급구조학과(심화)(전공)
[교과 개요] ⦁ 본 교과목은 응급현장에서 발생했거나 추정되는 법의학적 문제에 대해 적절한 현장대응을 하기 위한 기초지식을 함양함과 동시에 응급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응급의료 영역인 정신심리학의 이해와 정신질환 등의 지식 습득을 통해 특수 응급현장의 효과적인 대응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임 [교과 특징] ⦁ 응급현장에서 요구되는 특수대응과 특수지식 중 ‘법의학적 기초’와 ‘정신심리적 문제’에 함께 다룸으로써 융·복합적 사고를 형성하고 현장 대응에 활용할 수 있는 설계되었음
-
ChatGPT기반보건의료정보탐색(융복합) ★전문응급구조학과(심화)(전공)
⦁ ChatGPT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보건의료 정보를 탐색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AI 기반 도구를 사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보건의료 정보를 찾고, 이를 해석하며, 실제 사례에 적용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설계한 교과목임
-
컴퓨팅과 사고 ★전문응급구조학과(심화)(교양)
[교과 개요] ⦁ 컴퓨팅의 이해를 통한 논리적 사고를 이끌어 내고, 다양한 디지털 소통 매체(한글, 엑셀, 파워포인트)를 활용하여 생활 속 디지털 소통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임 [교과 특징] ⦁ 본 교과목은 원격강의로 진행되며, 직업기초능력의 정보능력과 연계하여 설계된 교과목임
-
ESG와 지속가능발전의 이해 ★전문응급구조학과(심화)(교양)
-
재난관리와비상대응 ★전문응급구조학과(심화)(전공)
-
EMS심리적응급처치 ★전문응급구조학과(심화)(전공)
-
AI기반데이터통계분석(융복합) ★전문응급구조학과(심화)(전공)
-
스포츠손상과재활 ★전문응급구조학과(심화)(전공)
-
EMS최신지견과이슈 ★전문응급구조학과(심화)(전공)
-
통합의학과자연치유 ★전문응급구조학과(심화)(전공)
전공심화
교과목명 | 교과개요 | 교과특징 |
---|---|---|
ALS시뮬레이션실습 | ⦁ 심혈관질환과 외상에 대한 총괄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응급처치 원칙에 따라 생명위협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심화학습을 위해 편성한 교과목이다. ⦁ 응급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심혈관 응급질환, 외상환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재현하여 환자평가 및 처치를 시행하여 전문지식과 수행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문제해결중심 교육내용으로 편성한 교과목이다. |
⦁ 심폐소생술 및 부정맥, 외상성 심정지를 포함한 외상환자에게 필요한 평가 및 술기를 숙달하기 위한 교과목으로 응급의료서비스 현장에서 생명위협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응급처치 역량강화에 초점을 맞춰 운영됨. ⦁ 학습목표 달성을 위해 시뮬레이션 교수학습법을 적용하고 \(1: 1\) 개별 실습 및 팀별 실습, 디브리핑, 토론, 피드백 등 다양한 수업 방법과 순환형 소통방법을 적용하여 실습 중심 수업으로 운영됨. |
EMS 연구방법론 | ⦁ 응급의료분야의 근거 기반 연구 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 연구방법과 통계실무를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 ⦁ 응급의료 분야의 선행 연구 사례를 탐색하며 연구실무와 연계하도록 교과목을 설계함. |
EMS 연구실무 | ⦁ 연구방법론의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응급구조 전공 분야 최신 의학지견에 부합하는 실무적 연구방법을 탐색하고 활용하는 교과목이다. | ⦁ 모의 연구설계를 바탕으로 탐색적 조사분석 실무를 이해하기 위해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분석 실습을 하도록 교과목을 설계함. |
응급현장법의학의 실제 | ⦁ 본 교과목은 응급현장에서 발생했거나 추정되는 법의학적 문제에 대해 적절한 현장대응을 하기 위한 기초지식을 함양함과 동시에 응급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응급의료 영역인 정신심리학의 이해와 정신질환 등의 지식 습득을 통해 특수 응급현장의 효과적인 대응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이다. | ⦁ 응급현장에서 요구되는 특수대응과 특수지식 중 ‘법의학적 기초’와 ‘정신심리적 문제’에 함께 다룸으로써 융·복합적 사고를 형성하고 현장 대응에 활용할 수 있는 설계되었음. |
ChatGPT기반보건 의료정보탐색 | ⦁ ChatGPT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보건의료 정보를 탐색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AI 기반 도구를 사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보건의료 정보를 찾고, 이를 해석하며, 실제 사례에 적용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설계한 교과목임. | ⦁ AI 기반 도구를 사용하여 신뢰할 수 있는 보건의료 정보를 찾고, 이를 해석하며, 실제 사례에 적용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설계한 교과목임. |
EMS 최신지견과이슈 | ⦁ 본 과목은 의학과 응급의학 분야의 최신 의학적 트렌드를 분석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정보 탐색을 통해 근거 중심의 응급의료 제공을 위한 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편성한 교과목이다. | ⦁ 응급의료종사자로서 지식 탐색과 올바른 정보 습득을 위해 토론, 연구 조사 함으로써 양적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음. |
응급영상판독과활용 | ⦁ 응급 진단 검사 종류에 대해 이해하고 결과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 함양을 통해 응급환자 상태에 대한 진단 과 처치 과정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내용으로 편성한 교과목이다. ⦁ 응급 영상진단(X-ray, CT, MRI) 등 응급상황에서 적절한 응급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영상 판독 방법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응급환자 진단 및 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편성한 교과목이다. |
⦁ 병원 내 진료보조 및 응급의료 제공 업무에 필요한 진단 검사의학 및 영상 의학적 판독 술기를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수업으로 운영됨. |
재난관리와비상대응 | ⦁ 재난관리체계를 중심으로 재난응급의료에 대한 대응을 연계 이해하고 다수환자 발생 시의 환자분류 및 처치의 원칙에 대해 심화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한 교과목이다. ⦁ 특히, 재난응급의료의 대응 전문가로서 습득해야 할 전문지식과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형 교육내용으로 편성하였다. |
⦁ 비상대응매뉴얼의 법적 근거를 중심으로 학습내용을 편성함. ⦁ 재난관리체계를 통해 재난 시 재난 예방에서 대응, 복구까지의 전반적인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도록 편성함. |
EMS 심리적응급처치 | ⦁ 인간의 마음 세계를 이해하며, 본인의 내면 세계를 만나는 경험을 통해, 응급의료서비스 상황에서 겪게 되는 심리적 외상,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역량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춘 교과목이다. | ⦁ 일상생활 및 직무 관련 스트레스 해소와 심리의 이해를 통해 직무 스트레스와 자기 스트레스에 대한 통제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교과목임. |
AI기반데이터통계분석 | ⦁ 양적연구 및 통계 방법을 이해하기 위한 지식을 습득하고 통계의 원리를 익히기 위한 교과목이다. | ⦁ 보건의료통계의 범위, 연구과정에 대해 이론적 근거 및 실무를 학습하고 데이터를 활용한 통계 기술을 적용하고 응용하는 교과목임. ⦁ AI를 활용한 연구 자료의 분석, 결과의 도출, 결과 해석 과정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교과목을 설계함. |
통합의학과자연치유 | ⦁ 통합의학과 자연치유의 개념, 원리, 그리고 실제 적용 방법을 다루는 교과목으로 통합의학적 접근법과 자연치유 기법을 학습하고, 이를 통해 환자의 전인적 건강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익히는 교과목이다. | ⦁ 최신 연구와 사례를 통해 통합의학의 효과와 한계를 이해하고, 임상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도록 교과목을 설계함. |
스포츠손상학 | ⦁ 스포츠 활동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손상의 예방, 진단, 치료 및 재활 과정을 다루며, 스포츠 손상의 생리학적, 생체역학적 원리를 이해하고, 효과적인 재활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적용하는 방법을 학습하는 교과목이다. | ⦁ 운동 상해와 재활 방법을 통한 응급처치의 연계 과정에 대해 탐색하고 관련 사례를 통해 스포츠 손상 관리의 최신 동향을 파악하고, 실제 임상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도록 설계된 교과목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