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 세상 속 건강과 웰빙 ★작업치료과(야)(교양)
[교과 개요] ⦁ 스스로 건강 관리와 Well-bing 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건강정보와 유익한 건강 실천 방법과 관련한 주제를 옴니버스식으로 편성한 교과목임 ⦁ 보건의료 분야의 전문적 지식을 다루는 것이 아닌 보편적 건강 관련 주제로 모든 전공 분야의 학생이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함 [교과 특징] ⦁ 옴니버스형 원격강의로 운영되는 교과목으로, 단순한 전공지식을 소개하거나 확장하는 주제가 아닌 보편적인 건강과 웰빙을 주제로 주차별 수업 내용을 편성함
-
운전재활 ★작업치료과(야)(전공)
[교과 개요] ⦁대상자의 운전능력 평가를 학습한다. ⦁전산화된 운전능력 평가를 시행한다. ⦁자동차 및 운전보조기기를 분류하고 사용방법을 숙지한다. ⦁운전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운전재활프로그램을 구성한다. [교과 특징] ⦁다양한 운전재활 평가도구의 평가방법과 결과해석을 훈련하고, 운전 시뮬레이터 및 이동관련 보조기기를 체험하고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훈련을 시행한다.
-
아동 청소년 작업치료프로그램 ★작업치료과(야)(전공)
[교과 개요] ⦁아동 및 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특징들을 알아보고, 그 중에서도 작업치료사가 알고 있어야 할 특수아동들에 대한 임상적 특징들에 대해 알아본다. ⦁질환별 아동 및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작업치료관련 프로그램들에 대해 연구하고 알아본다. [교과 특징] ⦁질환별 사례중심의 강의와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및 토론 중심 강의
-
보조기기적용 ★작업치료과(야)(전공)
[교과 개요] ⦁보조기기 및 보조기기 재원 서비스와 관련된 과정과 국내에 다양한 제도를 학습한다. ⦁영역별 보조기기를 분류하고 대상자 평가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습득한다. [교과 특징] ⦁작업치료에서 제공하는 보조기기 및 지원 서비스에 대하여 폭넓게 학습한다.
-
연구방법특론 ★작업치료과(야)(전공)
[교과 개요] ⦁연구의 전반적인 절차를 이해하고, 연구방법의 용어와 통계지식을 익히고, 임상에서 연구를 실천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 논문을 분석하여 자신의 임상현장에 적합한 연구방법(집단실험연구, 개별실험연구 등)을 적용하는 방법을 습득함 [교과 특징] ⦁ 본 교과는 국내외의 다양한 분야의 작업치료 임상연구를 찾고,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내담자 질환을 고려하여 기본적인 연구방법의 계획하는 학습을 특징으로 함
-
임상연하재활 ★작업치료과(야)(전공)
- 연하기능을 치료하는 작업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기본 지식과 평가결과에 근거하여 중재계획을 수립하고 중배방법에 대한 근거에 대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 정상 연하기능과 질환으로 인한 연하기능 장애를 분류하고 연하기능 증진시키기 위하여 적합한 중재도구를 선택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
컴퓨팅과 사고 ★작업치료과(야)(교양)
[교과 개요] ⦁ 컴퓨팅의 이해를 통한 논리적 사고를 이끌어 내고, 다양한 디지털 소통 매체(한글, 엑셀, 파워포인트)를 활용하여 생활 속 디지털 소통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임 [교과 특징] ⦁ 본 교과목은 원격강의로 진행되며, 직업기초능력의 정보능력과 연계하여 설계된 교과목임
-
ESG와 지속가능발전의 이해 ★작업치료과(야)(교양)
-
근거중심 작업치료 ★작업치료과(야)(전공)
-
고령자 작업치료 심화과정 ★작업치료과(야)(전공)
-
인지재활특론 ★작업치료과(야)(전공)
-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작업치료과(야)(전공)
-
작업중심 사례연구 ★작업치료과(야)(전공)
-
감각재활현장실습 ★작업치료과(야)(전공)